미국드라마 “빅뱅이론 (The Big Bang Theory)” 보시나요 ?
빅뱅이론은 미국 CBS 에서 방송한 시트콤으로 두 명의 천재와 친구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2007-2008년에 시즌1이 17편으로 종영되고, 현재 시즌 2 가 방영중입니다.
실험물리학자인 레너드(Leonard) 와 이론물리학자인 쉘든(Sheldon) , 그리고 그들의 Geeky 한 친구 하워드(Howard)와 라제쉬(Rajesh) 이렇게 4명의 괴짜 공학도와 앞집에 사는 페니(Penny) 라는 금발의 미인여성이 주축인데요.
왼쪽부터 하워드 , 쉘든 , 레너드 , 페니 , 라제쉬
컴퓨터,게임,물리학,전자,기계공학 등을 넘나드는 주제로 다소 어려울 것 같지만 누구나 쉽게, 즐겁게 볼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방영시에 엄청난 인기를 끌었으며, 국내에서도 IT 커뮤니티에서는 필수감상 드라마로 꼽히고 있습니다.
이 인기덕에.. 시즌2의 17화에서는 “George Smoot” 라는 사람이 출연합니다.
이 사람은 스토리상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로 나오는데, “The George Smoot” 라고 부를 정도로 유명한 사람으로 출연하죠.
George Smoot는 바로 COBE 위성을 사용하여 “빅뱅이론” 을 증명하는데 큰 공헌을 한 실제 노벨상 수상자 입니다.
그런 조지 스무트가 직접 제작진에게 컨택해서 시트콤에 출연하고 싶다고 해서 출연하게 됩니다.
그만큼 공학도들에게 인기가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고 할까요 ?
그런데.. 이 Smoot 라는 이름은 사실 다른 사람이 더 유명합니다.
조지 스무트의 사촌형인 “Oliver Smoot” 때문인데요.
올리버 스무트는 ANSI 의 의장 이였고, ISO 의 회장직을 지낸 매우 유명한 과학자입니다.
올리버 스무트는 MIT 재학시절인 1958년 10월의 어느날 밤 친구들과 함께,
보스턴 시내와 캠브리지 지역을 연결하는 하버드 다리 위에서 다리의 전체 길이를 재게 됩니다.
적절한 측정기 대신, 키가 가장 작았던 올리버 스무트 ( 5피트 7인치, 170 cm ) 가 누웠다 일어났다 하면서
자신의 몸을 이용해서 전체 다리 길이를 측정합니다. 마치 아래처럼요.
스무트(Smoot) 라는게 하나의 단위처럼 사용이 된거죠.
그렇게 해서 측정한 다리의 전체길이는 364.4 Smoot 와 ‘귀 하나(one ear)’ ( 620.1 m ) 였습니다.
그들은 10미터 마다 하나씩 표시를 하였고, 특별한 숫자에는 조금 위치를 바꾸거나 특이한 마킹을 했습니다.
예를 들어, 위 사진처럼 70번째 스무트 마크는 69에 이 숫자를 기리면서 표시하게 되면서 빠지게 되고 ( 네.. 야한 숫자 그거 맞습니다 ㅡ.ㅡ; ),
가운데 지점인 182.2 스무트는 “Halfway to Hell” 이라는 글자와 함께 MIT 쪽을 가르키는 화살표가 추가됩니다.
그렇게 표시한 값들은 매년 MIT 후배들에 의해 계속 덧칠되면서 MIT 문화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또한 일반 시민들에게도 익숙한 숫자가 되면서, 다리위에서 사고같은게 났을 때 어디인지를 알려주기 위해 “50스무트 근처에서 사고가 났어요” 라는 식으로 쓰이게 됩니다. 때문에 캠브리지 경찰국에서는 80년대 말에 보스턴시가 다리 보수공사를 하던 시점에, 이 표시를 남겨주기를 강력히 요청했고, 보스턴시는 다리위에 모든 스무트 표시를 보존함은 물론, 다리의 보도폭을 1 스무트(5.7피트) 로 아예 변경했습니다. (기존 보도폭은 6피트 입니다. )
MIT 에서는 2008년 10월에 올리버 스무트를 초청하여 Smoot 50주년 기념식을 하였구요, 또한 Google Earth 에서는 이를 기념하여 Smoot 를 측정단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젊은이들의 장난이 또 하나의 신기한 아이콘으로 바뀌는 것, 참 즐거운 발상인 듯 합니다.
* 추가 클리앙 까탈리스트님이 정보를 주셨는데, 올해부터 이화여대 석좌교수로 초빙되셔서 5년간 매 한학기씩 강의하신다고 합니다.
다음주 27일에 공개강의가 있다고 하니 한번 참석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