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별 글 목록: 2008년 7월월

iPod Touch 강좌 #1 : MP3에 ID3 Tag 등록하기 완전정복

아이팟 터치를 iTunes 에 연결한후 가장 먼저 한 작업은 제가 가지고 있는 CD 들을 리핑 하는것이였습니다. 예전에 MP3 로 떠놓은것도 있지만, iPod 에서는 MP3 의 단점을 보완한 AAC 포맷이 주로 사용되고, 또한 무손실 압축인 Apple Lossless 를 지원한다고 해서 정말 좋아하는 곡들은 다시 원본 음질로 뽑아내고 싶어졌습니다. ( 요즘 국산 MP3 플레이어는 Monkey’s Audio – APEFLAC을 다 지원하긴 합니다만, 전 Lossless 를 지원하는 MP3P 는 처음 만져보네요 ^^; )

iTunes 에서 CD Ripping 을 하면 자동으로 CDDB(iTunes는 Gracenote 라는 상용 CDDB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에 접속해서 자동으로 ID3 Tag 처리도 다 해줍니다. 아시다시피 iPod 과 iTunes 는 모든 음악을 재생함에 있어서 ID3 Tag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때문에, 기존에 폴더방식의 MP3 에 익숙한 사람은 처음에는 좀 어렵거나 귀찮게 느껴집니다.

iPod 의 UI 방식은, 3단계 이상의 연속하는 화면을 통해 곡을 선정하는 방법(‘가수’를 선택하면 ‘앨범’ 리스트가 뜨고, 앨범을 선택하면 ‘곡’리스트가 떠서 그중에서 원하는 곡 선택)으로 매우 편한 방식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Zen 이라 이름붙여진 UI 특허를 낸 Creative 에서 애플사에 대해 UI 특허침해소송을 내서 애플에서 1억달러(1000 억원)을 받아냈죠.

하여튼 그냥 편하게 MP3 를 듣던 사람들이 처음에 iPod 와 iTunes를 접하게 되면 제일 먼저 해야할 일은, 아무렇게나 붙여져 있는 MP3 의 ID3 Tag 들을 보기 좋게 정리하는것이 되겠습니다. 오늘은 이 ID3 Tag 를 정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Tag 관리의 최강자 : Tag & Rename

iTunes에서 자신의 CD를 Ripping 한다면 거의 다 자동으로 되니 문제가 없구요. 문제는 기존에 ID3 없이 리핑된 MP3 들입니다.
아무런 태그도 없이 파일이름에만 가수,곡목등이 있는 MP3 같은 것들 말이죠. 이때 사용할수 있는 툴이 바로 Tag & Rename 입니다.
이름에서 볼수 있듯이 여러개의 파일에 대해 Tag 를 한번에 수정하거나, 반대로 Tag 를 이용해서 파일이름을 한번에 변환할수 있습니다.

Tag & Rename 실행화면

30일간 NagScreen 뜨는걸 제외하고는 모든 기능이 사용가능한 셰어웨어 입니다. 온라인 가격이 29.95$ 여서 한화로 하니 3만2천원정도 되네요.
러시아에서 만든 무료 프로그램 TagScanner 같은 비슷한 종류도 있긴합니다만, 전 T&R이 더 사용이 편리하더군요.

T&R은 프로그램이 출시된지 꽤 오래된지라 유용한 기능이 꽤 많습니다. 사용자 요구들이 많이 반영되온 결과라고 할까요

  • 다양한 Mask 를 이용한 폴더 이름 변경 – MP3 파일과 마찬가지로 폴더명도 여러가지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 트랙 번호를 한자리(0),두자리(00),세자리(000),현재/전체(00/00) 등으로 한번에 입력하기
  • Rename 하는 동작을 Action 으로 저장했다가 차후에 다시 사용하기
  • 선택한 MP3 파일들의 Tag 의 내용들을 HTML,CSV,XML 등으로 내보내기

하지만 사실 우리가 Tag & Rename 에서 알아둬야 할 주요 기능은 딱 2가지면 됩니다.

  • Get Tags from Filename (Shift + F4 키)
    파일이름으로 부터 Tag 들을 가져오는 기능입니다. 기존에 폴더방식으로 MP3 를 관리했던 저 같은 사람에겐 딱 좋은 기능이죠.

    Get Tags from Filename

    제 하드에 있던 예전 MP3들은 주로 “[트랙번호]. [가수] – [곡목].mp3” 식으로 저장이 되어있더군요.
    이럴때는 화면에서 처럼 %6. %1 – %2 로 지정하고, 아래 노래들을 선택후에 Preview 를 눌러서 바뀔 Tag 들을 확인한 후에 Write Tags를 눌러 실행해주면 파일이름에서 Tag 로 내용이 주루룩 복사됩니다.

  • Get Album Titles from Amazon/TrackType.org ( F10 키 )
    앨범의 타이틀을 Amazon DB나 TrackType.org 에서 가수/앨범명으로 검색해서 가져오는 기능입니다. Amazon Japan 도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본 앨범도 가능하고, 아마존에 있는 꽤 좋은 품질의 앨범커버(500×500 또는 300×300 사이즈)도 가져와서 Tag 정보에 넣어줍니다. 최근 버전에 추가된 TrackType.org 에선 한국 앨범들도 꽤 검색이 됩니다.

    Get Album Titles from Amazon
    Get Album Titles from TrackType

    가수,앨범 또는 가수/앨범을 둘다 넣고 검색버튼을 누르면 검색결과가 아래쪽에 표시됩니다. 중복된 상품이 꽤 많이 나오므로, 한번에 10개의 결과씩만 보여줍니다. 다음 검색 결과는 우측상단에 “Load Next Ten Result” 버튼을 눌러서 보실수 있습니다. 원하는 앨범정보를 찾으면 선택하고 우측하단에 “Get Info!” 버튼을 눌러서 앨범의 상세 정보를 가져옵니다.

    앨범 검색 결과

    그러면 앨범의 트랙들에 대한 상세정보 및 앨범커버까지 다 가져와서 보여줍니다. 그럼 Tag 에 기록할 정보들을 체크해서 선택한후 “Write Tags” 를 누르면 MP3 에 Tag 들이 기록됩니다.

iTunes 에서의 Tag 관리

자, 이제 위에서 수정한 MP3 들을 iTunes 에 추가해 봅니다. 아래처럼 Tag 정리가 잘되고, 앨범 사진까지 들어간 MP3 들이 보입니다.

iTunes

iTunes 자체로도 Tag 관리는 가능합니다. 여러개의 파일을 선택후 태그를 수정하면 아래처럼 동시에 수정도 됩니다.

여러개의 MP3 Tag 동시 수정

또한, iTunes 에서 중요시 하는 Tag 가 다른 프로그램에선 중요하지 않아서 iTunes에서만 강조된 경우도 있습니다.

iTunes 에서 요긴한 Tag들

위에서 보면 앨범 아티스트 태그가 좋은 예인데, 기존에 추가한 U2 앨범 전곡중 17번 트랙 “The saints are coming” 은 U2 와 Greenday 가 같이 불러서 가수명이 앨범의 다른곡들과 다릅니다. 이러면 차후에 관리시 이 노래만 앨범에 포함되지 못하고 따로 놀게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이 경우 아티스트는 U2 and Greenday 로 하고, 앨범 아티스트를 U2 로 하면 같은 앨범의 곡으로 처리하게 됩니다.

그룹짓기 태그는 자기가 좋아하는 곡들을 가수/앨범 등을 초월해서 자동으로 관리하고 싶을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기쁠때, 우울할때, 드라이브용 등등..
(플레이 리스트로 관리하는거도 가능하지만, 이렇게 관리하는건 또 다른 장점이 있습니다. 차후에 스마트리스트 얘기할때 적겠습니다. )

편집앨범 태그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팝송 100곡” , “빌보드 히트곡 1980-2000” 처럼 컴필레이션의 수록곡에 지정합니다.

끊김없는 재생 태그는 라이브 앨범이나 클래식 앨범처럼 각 곡들이 끊김없이 재생되어야 할때 지정합니다.

앨범사진 태그는 아이팟터치의 가장 멋진 기능중 하나인 커버플로우를 위한 앨범사진을 지정하기 위한 태그입니다.

가요 앨범의 Tag는 아이리버 플러스

가요앨범도 새로 CD를 리핑하거나 할때는 위 방법들로도 다 처리가 가능한데, 기존에 해놓은 가요앨범들은 그럼 ?
iTunes 의 경우는 자기가 리핑한 파일들에 대해서만 Gracenote 접근을 허용하고 있기 때문에 불가능하고, Tag & Rename방법으로는 가요앨범 정보가 그리 많지가 않죠. MP3 제조업체인 아이리버가 만들어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인 “아이리버 플러스” 가 꽤 좋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아이리버 플러스도 Gracenote DB 를 사용했었는데 최근에 AllMediaGuide로 바꿨다고 합니다.

아이리버 플러스

사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곡 정보를 선택하고 앨범단위 혹은 곡 단위로 가져오기를 시도하면 됩니다.

앨범 단위 검색

앨범을 선택하고 앨범단위 검색을 한 결과입니다.

곡 단위 검색

곡 단위 검색 결과입니다. 앨범커버까지 잘 정리되서 불러주고 있네요.

자.. 이렇게 해서 집에 있는 씨디 리핑도 다하고, 기존에 하드에 있던 MP3 태그 정리하고 iPod 에 꽉꽉 채우니 몇일이 후딱 가더군요.
그러나 이제 더 즐거운? 앨범커버정리노래 가사 지정하기가 남았습니다. 그래서.. 다음 강좌는 “고해상도 앨범커버얻기 완전정복” 이 되겠습니다.

iPod Touch 강좌 #0 : 먼저 매뉴얼부터 읽읍시다 !

iPhone 이 나오면 핸드폰을 바꾸려고 iPod Touch 도 안사면서 기다리고 있었는데.. 이런 저런 사유로 공짜 iPod Touch 16기가와 Nokia N810 두개의 기기가 생겨버렸습니다. 아이팟 터치는 이젠 정말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계시고, 다양한 강좌들이 존재하는듯 한데.. 또 막상 기기를 사용하면서 자료를 찾다보니 제가 원하는 자료들은 너무 여기저기 퍼져있더군요. 제 입맛대로 정리를 해볼까 해서 다소 늦은감이 있는 터치 완전정복 강좌를 하나 써봅니다.

아이팟 터치 기초부터 완전정복까지~

사실 아이팟 터치가 제 첫 애플제품이어서 그런지 몰라도, 처음에 박스 받고나서 조금 황당했습니다. 으례히 뭔가 전자제품을 샀을때 들어있어야 하는 매뉴얼 이라는게 없더군요. 설치CD 역시 안보이고.. 기계를 켜봤더니 다짜고짜 PC와 USB 연결해서 iTunes 설치하고 인증하라는 말만 나오더군요.

애플의 사용자 UI 가 쉬워서 적응이 금방 된다고는 하지만, 기본 사용법 정도는 알려줘야 하지 않나 생각도 드네요.

어쨋거나 일단 박스에 안 들어 있는 iPod Touch 의 한글판 기능 설명서는 애플사이트의
http://manuals.info.apple.com/ko_KR/iPod_touch_2.0_User_Guide_KH.pdf
에서 받으실수 있습니다. 제목에서 보이듯이 이번에 나온 2.0 펌웨어 기반의 한글 매뉴얼입니다.

1.1.4 또는 그 이하 버전 사용자 께서는
http://manuals.info.apple.com/kh/iPod_touch_Features_Guide.pdf
에서 예전 버전을 다운 받으실수 있습니다. 사실 별차이 없으니 그냥 2.0 버전 매뉴얼을 보셔도.. ^^;

2.0용은 115장, 예전꺼는 93장의 한글매뉴얼인데 꽤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100% 활용을 위해서는 꼭 한번정도는 읽어주셔야 합니다.
검색으로 찾아 본 아이팟 터치 관련 블로그/카페의 사용팁들은 이 기본 매뉴얼안에 들어있는게 많습니다.

  • PC와의 연결/동기화 ( 자동 , 수동 )
  • 각 버튼의 사용법 / 인터넷 연결방법
  • 음악/비디오를 재생하는 기능에 대한 상세한 소개
    • 음악 재생화면의 각 버튼 상세 설명 ( >>|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빨리감기가 된다는 거 같은.. )
    • 노래 가사 보기 ( 앨범 커버를 누르면 보이는데.. 이 기능도 1.1.3 인가 이후에 추가되서 매뉴얼 보지않고는 알기가 힘든듯)
    • 터치내에서 비디오 직접 삭제하기 – 음악삭제는 안되는데 비디오는 직접 삭제가 됩니다. 용량문제겠죠
  • Safari 를 비롯한 각종 기본 프로그램들(캘린더,메일,연락처,주가,날씨등등)의 사용법

어떻게 화면을 확대/축소하고, 기본적인 리스트 인터페이스에서 어떻게 아이템을 삭제하는지 등에 대해서도 다 적혀있습니다.
많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들도 인터페이스가 같으므로 기본 어플리케이션에 익숙해 지면 사용이 편해집니다.
앞으로는 위 매뉴얼을 한번씩은 보셨다는 가정하에 진행 하겠습니다. 🙂

아이팟의 버튼에 대해서

아이팟 터치 기능 매뉴얼에 잘 나와 있긴 하지만.. 뭔가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게 있어서 조금 더 적어봅니다.

아이팟 터치는 아래처럼 하드웨어 버튼이 상단에 Power/Sleep 버튼, 하단중앙에 Home 버튼 2개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이 두개 가지고도 다양한 동작이 가능합니다. 예전에 파나소닉 카세트의 이어폰에 달린 리모콘이 생각나네요. 얇은 카세트 플레이어에 기본으로 들어있는 이어폰에는 심플하게 생긴 리모콘 버튼이 딱 한개 붙어 있었지만, 이걸 한번 누르면 재생/스톱, 두번 누르면 FF , 세번 누르면 REW , 길게 누르면 A<->B 였죠 아마.. 근 20년전인거 같은데 아직도 기억이 나는거 보니 어린 제게 꽤 신기해 했었나봅니다. 근데 아이팟 터치를 만지면서 그 생각이 나게 만들더군요.

아이팟 터치 버튼
[from 구글검색 : http://rupertgee.files.wordpress.com/2008/01/buttons.jpg ]

  • Home 버튼
    • 한번 : 어느 화면에서든 홈 화면 ( 기본 어플리케이션이 보이는 화면 ) 으로 돌아옵니다.
    • 두번 : 어느 화면에서든 음악 재생을 컨트롤할수 있는 화면이 미니 팝업으로 뜹니다. 화면 잠금상태에서도 누르면 팝업은 아니고 상단에 버튼이 생겨서 음악을 컨트롤 할수있습니다.
      인터넷 서핑중 음악 조정 미니 팝업 잠금 화면 음악 조정
    • 길게 : 음악/비디오 재생 화면이었다면 재생을 종료하고 홈 화면으로 돌아갑니다. 홈으로 돌아가는것은 한번 누르는것과 비슷하나 어플리케이션이 비정상 작동할때도 강제로 종료하고 홈으로 돌려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이렇게 해야지만 완전히 종료하고 홈으로 가는것도 있습니다. (나중에 따로 알아볼 ScummVM 같은경우 그냥 한번 누르면 백그라운드로 돌게 내버려두고 홈으로 갑니다.)
  • Power/Sleep 버튼
    • 한번 : Sleep 모드(화면만 꺼짐, 음악은 계속 재생, 비디오는 종료)로 들어가며, 다시 누르면 잠금화면이 보입니다.
    • 길게 : 진짜로 iPod 을 종료하기 위해 묻는 창이 뜹니다.
  • Power버튼 + Home버튼
    iPod 이 켜져있다면 강제종료가 되며, iPod 을 킬때 이렇게 계속 누르고 있으면 복구모드(1회에서 설명했습니다.) 로 들어가게 됩니다.

처음엔 간단한 팁들을 정리해볼까 했는데, 매뉴얼이 너무 상세한지라.. 매뉴얼 다운로드 링크만 알려드리고 말았군요. ^^;
디카 처음 샀을때도 매뉴얼부터 정독하라고 하듯이.. 아이팟 터치의 100% 활용을 위해서는 매뉴얼을 꼭 읽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