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보관물: xguru

구루의 기술뉴스 : 넷플릭스의 Ops,DevOps,NoOps 이야기 외 13건

구루의 기술뉴스 ( GuruNews ) 56회차 입니다.

오늘은 넷플릭스의 Ops,DevOps,NoOps 이야기 글을 메인뉴스로 선정했습니다. 2009년부터 혜성같이 등장한 DevOps Movement는 개발과 운영이 별개가 아니고, 서로 잘 조화되는 문화를 만들어서 Agile 한 프로세스가 더욱 잘 수행될수 있도록 도와주자는 시도입니다. 정작 국내에선 아직 이 DevOps자체에 대해서도 많은 논의가 되지 않는데, 넷플릭스에서는 그걸 뛰어넘어 NoOps로 가고 있다고 얘길하고 있으니 참 부럽기도 합니다. kth도 DevOps 를 적극적으로 조직문화에 녹여내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저 개인적으로도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주제이기도 하구요. 저희 kth의 사례와 이에 관련된 정보들은 계속 제 블로그와 kth 개발자 블로그를 통해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 추천글 ]

  • 넷플릭스의 Ops,DevOps,NoOps 이야기 – DevOps를 넘어서 NoOps까지 간 과정을 정리한 배울 것 많은 글. 이제서야 DevOps를 따라가는 저희에겐 꿈같은 이야기네요. 넷플릭스가 일반적인 Puppet/Chef 같은 DevOps 툴을 안쓰고 직접 만들었다는게 놀라운데.. 그 이유가 “결정권자들이 이런 설정에 의한 오류상황에 많이 힘들어 해본 개발 매니저들” 이었다는 것. 게다가 넷플릭스의 CEO인 Reed Hastings가 C++개발자용 툴 Purify의 개발자/창업자였군요. IBM나와서 넷플릭스를 창업한 뒤 뛰어난 개발자들만 모았는데, 그 사람들이 지금 넷플릭스의 부사장들이라고.. 이제 넷플릭스가 요 몇 년간 기술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얘기되는 현 상황이 이해되기 시작.
  • 해커쏜 실패하지 않는 프로 Tip 10가지 국내에서도 많은 해커쏜이 열리길 기대합니다

[ 웹사이트, 웹서비스, 웹기술 ]

[ 모바일 – 아이폰/안드로이드 ]

[ DB,클라우드,웹서버 기술 ]

피드백 환영합니다!
제 블로그를 RSS리더에서 구독하시거나 , 제 블로그를 이메일로 구독하실수 있습니다

구루의 기술뉴스 : Mythical Team-Month 외 21건

구루의 기술뉴스 ( GuruNews ) 55회차 입니다.

오늘은 Mythical Team-Month 라는 제목의 발표자료를 메인뉴스로 선정했습니다. 이 자료는 “작은 팀”이 가지는 의미의 핵심을 잘 짚은 자료로, 꼭 개발팀이 아니더라도 한번쯤 살펴보실만 합니다.

[ 추천글 ]

  • Mythical Team-Month 보통 “작은 팀이 빠르다” 라고 하는데, “몇명짜리 팀이 작은것이고, 무엇이 빠르다는건지?” 를 깔끔하게 설명한 초강력 추천 슬라이드. 40분짜리 발표 동영상도 있습니다. 음성이 들락날락 하지만 들을만 합니다.
  • 애플의 보이지 않는 미학 조나단 아이브. Path의 회의실 이름이 “Sir Jonathan” 이고, 그의 초상화가 걸려있다는 사실이 재미나군요. Path의 유려함은 조나단에게서 배운것?

[ 웹사이트, 웹서비스, 웹기술 ]

[ 모바일 – 아이폰/안드로이드 ]

  • iOS의 유명 카메라앱 Camera+가 이제 연동 API를 제공해서 용도를 더욱 확장해 나가는군요. tap tap tap.. 참 배워야할게 많은 친구들
  • 내 앱이 죽었어요, 어떡해야 하죠 ? iOS 개발자들을 위한 버그잡기 팁들을 순차적으로 깔끔하게 정리. 파트1이니 후속편도 기대됩니다
  • SupaSounds – 앱에서 사용할 음악들을 쉽게 들어보고 구매할수 있는 서비스. 음악사용앱이 Top25에 들어가면 그음악은 판매중지하는데 그중에 Birzzle이 있군요

[ 프로그래밍/HTML5/CSS/Javascript ]

[ DB,클라우드,웹서버 기술 ]

  • Btrfs – 쉬운관리와 폴트 톨러런스,복구에 중점을 둔 파일시스템. 50분짜리 발표동영상인데 자료 제목이 “I can’t believe this is butter!” 라서 웃었네요. ( I can’t believe It’s not Butter 라는 유명한 버터대체품.. 즉 마아가린 입니다. )
  • 클라우드 아키텍춰 튜토리얼 넷플릭스의 아드리안이 진행했던 하루짜리 튜토리얼의 PT자료들. “넷플릭스는 어떻게 AWS상에서 스케일러블한 자바기반 PaaS를 만들었나”
  • Cassandra 와 SSD 카산드라는 기본적으로 물리디스크에 최적화 되어있지만, SSD에도 잘 맞다는걸 설명한 슬라이드. 내용구성이 잘되어서 관련지식을 쌓는 슬라이드로도 좋음
  • PaaS 리스트. 현재 총 72개! 지원되는 언어/프레임웍/오픈소스 여부 등 정리가 잘되어있네요
  • 2/29일에 있었던 Azure 클라우드 서비스 중단 사태의 포스트모템 시작이 윤년때문에 생긴 버그였군요. 당황스럽긴 하지만 상황들이 꽤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에 관련하여 Azure 사태에 대한 Writely ( 현재는 구글닥스가 된 ) 창업자 Steve Newman의 정리 The Azure Outage: Time Is A SPOF, Leap Day Doubly So – MS의 포스트모템을 짧게 정리하고, MS의 대응속도 이야기, 그외에 신경써야 할 부분까지 같이 정리했네요
  • Zynga와 Sony가 아마존 AWS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보고 배울점 인프라가 커질수록 이에 대한 제어권을 가진다는게 중요해지고 있으며, 다행히도 Chef/Puppet 같은 오픈소스가 도와줄수 있다는것

피드백 환영합니다!
제 블로그를 RSS리더에서 구독하시거나 , 제 블로그를 이메일로 구독하실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