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보관물: xguru

LIFT Asia 08 후기#5. 둘째날 세션3&4 : The future of social worlds, Techno-nomadic life

LIFT 둘째날 오전세션이 끝나고 점심먹고나서는 바로 공개세션이 이어졌습니다. 컨퍼런스 주제에 부합하는 다양한 세션들이 준비가 되어서 약 6개인가의 트랙으로 나뉘어 졌는데요. 전 Daum에서 준비한 몇개의 세션과 아트센터 나비에서 준비한 LIFT Experience 소개 세션에 들어갔습니다. 아트센터 나비에서 준비한 예술작품들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을 통해 좀 더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었던거 같습니다.

다른 분들 후기를 보니 메인홀에서 진행되었던 스위스의 벤처(Startup Company)들 소개하는 세션도 꽤 재미있었나 보더군요. 이렇게 여러개의 트랙으로 나뉘면 이런게 좀 아쉽더군요. 다행히 LikeJAzz 님의 LIFT Asia 08 – Do you Poken? , LIFT Asia 08 – 얼굴로 비밀번호를 글을 통해서 일부 정보를 볼수 있게 되었네요.

LIFT Asia 08 – #6.The future of social worlds : 소설 세계의 미래

제가 관심있어 했던 세션인데요. 먼저 Nexon 의 권준모 대표가 세션의 제목과 같은 내용의 주제로 발표를 시작했습니다.

The future of social worlds

세계최초의 MMORPG인 “바람의 나라“를 개발했던 넥슨의 대표답게 MMORPG에 대한 많은 흥미로운 이야기를 볼수 있었습니다. 전세계 넥슨 사용자가 3억5천만명이며, 200만명이 동시접속하여 즐기고 있다는 얘기로 시작해서, 넥슨이 새로 만든 Business Model 로 “Item Selling Model” , “Co-Promotion Model” 을 소개했습니다. 아이템 판매는 옷/장신구 같은 Decorative 아이템이나 , 특정 기능을 부여하는 Functional 아이템으로 나뉘어 질수 있는데 이건 뭐 많이 알고 있는 사례이긴 했지만, Co-Promotion 모델의 사례는 꽤 흥미로웠습니다. 카트라이더 게임에서 BMW 미니와 제휴를 해서 직접 BMW 미니를 게임안에서 모는듯한 느낌을 준다거나, 나이키가 만든 새로운 신발을 게임안에서 신었을경우 더 빠르게 혹은 더 높이 뛸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체험 하는 형태의 광고를 할수 있다는 것이 꽤 좋은 광고모델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MMORPG 에서의 또 다른 자아를 가지는 것을 통해 바뀌는 것을 몇가지 예로들었는데, 저도 한때 WoW 에 미쳐서 1년반인가를 살아봐서인지 매우 공감하는 내용이 많았습니다. 그리고, 발전방향에 대해 얘기하면서 플랫폼/서비스의 융합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이건 게임이나 인터넷, TV, 모바일에 상관없이 다 연결된 구조로 갈것이라고 하는데 이 역시 동감합니다. 이젠 뭔가 서비스를 기획한다면 모든 방향에서의 융합 / 메시업을 고려해야 한다고 봅니다.

MEGA phone

다음은 또다른 한국분인 Jury Hahn 이 Megaphone 이라는 전화로 하는 소셜 엔터테인먼트 게임을 선보였습니다. 이런 컨퍼런스나 타임스 스퀘어 같은 큰 광장에서 화면을 같이 공유하여 핸드폰을 가지고 하는 게임의 개념을 선보였는데요. 데모로 보여준 슈팅게임과 팝콘잡기 게임은 정말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MEGAphone Shooting  Game
제가 찍은 사진이 없어서 위 사진은 몽양부활님 블로그에서 슬쩍했습니다 🙂

사실 전 이 발표를 보면서 정말 땅을 치면서 후회했습니다. 제가 현재 하고 있는 일을 하기전에 했던게 이것과 똑같은 작업이었기 때문이죠. 2001년에 이미 국내의 케이블 방송에서 비슷한 형태의 게임을 납품해서 서비스도 진행했었구요. 다만 너무 시대를 앞서나가기도 했거니와, 이런식으로 여러명이 모인곳에서 같이 할수 있도록 하는걸 생각했더라면 그 시절에 뭔가 또 다른 일을 벌일 수 있지 않았을까 하구요. 하지만 후회하면 뭐하겠습니까. 다 지나간 일인걸요. 다만 이런식으로 발상전환을 통해 좀 더 발전적인 방향으로 잘 풀릴수도 있다는 교훈을 얻은 세션이었습니다. ㅠㅠ

LIFT Asia 08 – #7.Techno-nomadic life : 기술 유목민의 삶

둘째날의 마지막은 무선과 모바일에 대한 세션이었습니다. 첫번째 세션은 Nokia 의 Jan Chipchase 가 인간 행동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얻는 지식들을 전달해줬습니다. 모바일/디지탈의 사용에 따라 인간행동양식이 약간씩 변하거나 하는 부분들을 각국의 사례를 들어 설명했는데, 딱히 기억 남는 사례가 없네요. 아마도 우리에게 너무 익숙해져버린 것들을 소개해서 그런걸지도 모르겠습니다. 새로운 트렌드를 정의하는 단어를 몇개 나열했는데, Pocketable, Serial-Solitary, Real-time associations , Tech Literacy 등등 이였는데, Pocketable 의 다음 단계는 Invisible 이라고 얘기 하네요. 기술이 발전해서 눈이 보이지 않게 되는것이죠. 너무 작아지거나, 실생활 속으로 파고들거나..

그 다음은 i-Mode 의 아버지라 불리우는 Takeshi Natsuno 가 나와서, 일본내에서의 모바일 현황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i-Mode 는 99년에 시작한 핸드폰용 무선 인터넷서비스입니다. 대히트를 쳐서 일본에선 엄청나게 많은 서비스들이 i-Mode 용으로 나와서 쓰이고 있고, 아직도 계속 새로운 서비스들이 나오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Takeshi 의 이야기중 재미난 말들이 몇개 있었는데 옮겨보면..

외국에서 보기엔 일본의 모바일시장은 갈라파고스 군도 같다고 한다. 신기한 동물들이 살고있는.. 하지만 안에 들어가서 보면 천국이다. 핸드폰 하나만으로 모든것이 가능하다.
인터넷,이메일,뱅킹,음악,게임,동영상,TV,만화,현금대용,택시비도 내고 일본 국내선은 보딩패스도 없다. 핸드폰만 제시하면 끝이다.

iPhone도 좋지만, 일본 iPhone 사용자의 75%는 다른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다. 나도 마찬가지다. 2개를 다 들고다닌다. 핸드폰으로 할수있는 다른 수많은 것들을 아이폰은 못한다.

그리고는 일본시장의 특징으로 모바일 지갑의 사용을 들었습니다. 일본 인구의 43%가 휴대폰을 지갑으로 사용하며, 작년에는 처음으로 유통되는 총 동전의 수가 줄어들었는데 이게 다 모바일 지갑의 사용때문이라고 합니다. 이는 또 신용카드 시장까지 먹어치우고 있다고 합니다. 제가 올린 첫째날 Virtual Money 글에 보시면 이 모바일 지갑의 사용예가 나오는데, 100달라를 지갑에 넣으면 실제로는 97.5달러만 들어갑니다. 2.5달러는 수수료로 나가는데요. 그럼 여기서 나오는 수익은 정말 어마어마 하겠죠. 우리나라는 시장접근을 처음부터 잘못해서 이렇게 되긴 힘들지 않을까 합니다. 국내 모바일 인터넷은 돈만 비싸고 컨텐츠도 별로 없고, 통신사만 배불리는 구조인데다가.. 처음부터 모바일 인터넷하면 돈이 많이 나온다는 사실만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줘서 거기에서 파생되는 모든 시장을 죽여버린거라고 생각합니다.

그 다음은 Fjord 의 Christian Lindholm 이 “What can digital nomads tell us what’s the futures of mobility ?” 라는 주제의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Chritian Lindholm

Mobile , Nomads , Mobility 라는 단어들로 이런 저런 얘기들을 했는데, 배터리 수명이 디지탈 컨버전스의 첫번째 적이라고 말하며, 공항 터미널에서 노트북전원 연결이 가능한 파워콘센트 앞에 쪼그리고 앉은 사진을 보여주는데 정말 공감가더군요. 🙂 특별히 재미난 얘기는 없었던듯 합니다.

이렇게 둘째날 세션이 모두 끝나고, 다음커뮤니케이션분들과 맛있는 제주갈치로 저녁식사 하느라 Karaoke 에는 못갔네요. LikeJAzz 님의 Karaoke 글을 보니 매우 재미있었던듯 합니다 🙂

LIFT Asia 08 후기#4. 둘째날 세션1&2 : Networked City, Aiming for a better Society

숨가쁜 첫날이 끝나고 둘째날입니다. 아침9시부터 첫세션이 시작합니다.
첫날 세션을 다 쪼개서 올렸더니.. 후기쓰기가 꽤 부담스러워 지네요.
둘째날은 제가 특별히 관심없었던 부분들은 합쳐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LIFT Asia 08 – #4. Networked City : 네트워크 도시

The Long Here, the Big Now

먼저 Nokia 의 수석 디자이너 Adam Greenfield 가 “The Long Here, the Big Now” 란 제목의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우리한테는 ubiquitous 단어로 익숙한 개념을 소개하면서 u-청계천, u-City 송도 라고 부르는 국내의 프로젝트들을 얘기합니다. 이런 작업들이 정작 사람들이 요구하는것과는 상관없이 그냥 기술적인 관점에서만 시작한다고 말을 꺼내네요. 사실 기술에 익숙한 엔지니어들이 이걸 이렇게 쓰면 좋지 않을까 ? 라고 하면서 이런저런 작업을 시작하는게 일반적이죠. 🙂

기억에 남는건, 마지막쯤에 얘기한 도시안에서의 Interaction 에 대한 새로운 패턴들이였는데요. 도시안의 많은 전광판 같은 것들이 Adressable, Scriptable, Queryable 하게 바뀔수 있다는 것이였습니다. 제가 관심있어 하는것이 WSD ( Web Services on Devices) 인데, 단지 전광판 같은 것만이 아니라, 훨씬 더 많은것들이 이런 인터액션이 가능하게 바뀔것이라고 생각됩니다. WSD 같은 경우 샘플 어플리케이션들이 보통 집안에 있는 전등 스위치에 Web Service 를 올려서 이것을 Discover 해서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죠. 집안에서나 길을 걸어다니면서 우리가 보는 많은 오브젝트를 조작할 수 있다는 상상.. 해보신적 없으신가요 ? 전 생각만 해도 즐겁네요 🙂

다음은 스위스의 건축가 Jeffrey Huang 이 “Interactive Cities”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앞부분은 Adam 과 비슷하게 ubiquituos 한 이야기를 조금하다가, 뒤에 재미난 프로젝트들이 몇개 소개되었습니다.

Listening Wall” 이라는 프로젝트는 벽에 귀를 만들어서, 벽이 들은 대화내용의 일부를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화자들의 생각이 벽에 보이게 하는 것입니다. 광고판에 이걸 심어놓으면 사람들이 지나가면서 느끼는 감정들이 바로바로 광고에 추가되어서 나타날수 있겠네요. 장난으로 욕만 하고 가는 사람들이 많을꺼라고 예상은 됩니다만.. ^^;

Swisshouse” 프로젝트는 서로 떨어진 공간에 있는 사람들의 생각을 이어줄수 있도록 가상벽을 만들고 양쪽의 영상/소리를 전달하여 마치 같은 공간에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Daum 처럼 서울/제주로 분리되어 있는 조직에는 꽤 재미난 시도가 될것 같습니다. 시차가 있는 한국/미국 간의 연결은 아무래도 좀 힘들것 같네요 🙂

Seesaw Connectivity” 각 공항에 있는 의자끼리 연결되어서 사람이 앉았을때와 안앉았을때 높낮이가 다르고, 또한 앉으면 앉은사람끼리 대화를 할수 있게해서 “공항에서 새 언어를 배우는 것” 이 가능하게 한다. 효용성은 없어 보였지만, 꽤 재미는 있을것 같았습니다. 의자에 누워서 자는 사람들은 어쩌나…

Living City

Networked City 세션의 마지막은 뉴욕에서 활동중이신 건축가 양수인님이 Living City 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시작했습니다. 이 Living City 라는 개념은 빌딩이 대화를 한다는 것으로, 각종 센서가 네트웍으로 연결되어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것입니다. 쉬운 예를 들어주셨는데.. 중국에서 황사가 온다고 하면 상하이에 있는 오리엔털 빌딩이 황사정보를 한국의 63빌딩에 보내면 63빌딩은 이에 대해 미리 대처할수가 있다는 것이다. 창문을 닫고 에어컨을 가동하고 하는등의 일이겠죠. 빌딩끼리 1촌을 맺어서 정보를 주고 받는것이라고 보면 될듯 합니다. 빌딩들의 싸이월드 ?

이런식으로 빌딩이 플랫폼화되고, 각각의 API 가 공개되면 이들만으로도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해지겠죠. 이렇게 취득한 정보를 모바일과 연결하면 원하는 곳의 기상정보를 직접 얻거나 하는 것도 가능해질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저에게 다양한 상상을 하게 해줬던 둘째날의 첫번째 세션이 끝났습니다. 다시 또 한시간의 휴식과 함께 즐거운 토의시간 ^^

LIFT Asia 08 – #5. Aiming for a better society : 더 좋은 사회를 향하여

희망제작소

2번째 세션은 희망제작소의 홍일표박사가 한글로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우리나라 민주화 운동과 촛불의 역사를 설명하면서 인터넷 환경의 변화를 얘기하고, 우리 사회가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를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희망제작소에서 하는 다양한 활동들을 소개했는데요. 사회창안센터를 알게된 것만도 큰 소득인 것 같습니다. 다양한 불만 및 제안이 아이디어가 되고 열매를 맺는 “새싹 -> 나무 -> 열매“의 단계를 가진다는게 참 재미난 발상인듯 하네요. 회사에서도 이런식의 제도를 운영한다면 참 재미있을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는 Nokia Design 의 Raphael Grignani 가 나와서 “Homegrown” 이란 제목으로 Nokia 가 추진하는 각종 Eco & Green 전략에 대해서 소개를 했습니다. 처음에 다양한 숫자들을 보여줘서 기록해 놨는데, 세계에 약 30억대의 휴대폰이 있으며, 노키아에 11만명의 직원이 있고, 초당 16대씩의 핸드폰을 생산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매일 426000대의 핸드폰의 자기 수명을 다하고 있다고 하는군요. 그리고 나서 Nokia 가 자원을 아끼기 위해 어떤 일을 하고있는지 (Leading Green), 그리고 이런 활동을 넘어서 전세계인들에게 어떻게 모바일을 접할수 있게 할지에 대해(Beyond Green) 다양한 얘기를 펼쳤습니다.

그리고는 스위스식 점심식사가 이어졌는데요.. 뭐가 스위스식인지 잘 구분을 못해서.. ㅡ.ㅡ;;; 전 그냥 퐁듀나 먹는거 아닌가 기대했다가 흑..

스위스식 점심식사

그래도 맛은 꽤 좋았습니다. 식당에서 보는 전망도 좋구요. 이렇게해서 둘째날 오전 일정이 모두 끝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