년도별 글 목록: 2009

Web Trend Map 2009 : 웹 트렌드를 한눈에 보기

조금 때늦은 포스팅입니다. 이미 Twitter 에서는 2주전쯤에 많이 이슈가 되었던 내용인데, 회사 내부에만 자료를 공유하고 블로그에 포스팅을 못 했네요. 이 다음에 연속된 글을 써둔게 있어서 설명을 위해 늦게라도 올려봅니다.

2007년부터 계속 업데이트 된 Web Trend Map 의 버전 4.0 Beta 가 발표 되었습니다.

http://informationarchitects.jp/web-trend-map-4-final-beta/

이 Map 은 계속 Information Architects Japan 이라는 곳에서 만들고 있구요.

아직, Final Beta 상태이긴 합니다만, 최종버전에서도 큰 변동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원본파일은 플리커에 올려놨더군요.

http://www.flickr.com/photos/formforce/3409362834/sizes/o/

6740 X 4768 짜리 초거대 이미지입니다. A3 에서 뽑으니 그럭저럭 볼만합니다만, 몇몇 글자는 잘 안보이더군요. 그래서 저는 A3 4장으로 포스터 인쇄했습니다. 그렇게 하니 사람이름까지 제대로 보입니다. 아, 원본은 완전 검정이라 Invert 해서 흰색으로 만들어야 출력물에서 보기가 좋습니다. 물론 토너/잉크 절약도 되구요 🙂

Web Trend Map 2009 White

이 지도는 Tokyo의 지하철 노선도를 기반으로 해서 Web 에서 영향력 있는 사이트/회사/사람들을 표시한 지도입니다.
333개의 인터넷 도메인111명의 영향력 있는 인물 ( Trend Setter )들을 리스팅하고 있습니다.

각 위치는 그냥 선정한게 아니라 각 사이트의 트래픽, 수입 등을 고려하여 일본 지하철과의 관계를 지어 위치가 선정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 가장 Buzz 한 장소인 시부야 위치에는 올해는 Twitter 가 차지하고 있네요. 확실히 요즘 이슈가 되긴 하나 봅니다.
가장 사람많고 복잡하고 거대한 역인 신주쿠에는 구글이, 도쿄박물관/국립서양미술관/모리미술관 이 있는 우에노 역엔 디자이너들의 놀이터 DeviantART 가 있군요.

자신이 얼마나 웹 트렌드를 잘 따라가고 있는지는.. 여기에 있는 역 이름을 얼마나 아는가 모르는가로 세어보시면 되겠습니다.

각 노선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Web Trend Map 2009 - Lines

웹 사이트들이 워낙 다양한 스펙트럼들을 가지고 있어서 모든 역이 정확히 매치된다고 볼수는 없지만 꽤 합리적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Cyworld 와 Naver 는 Entertainment 라인이군요. ㅡ.ㅡ;;

그리고, 예전 버전부터 한번씩 쫓아가 보는 것도, 전체 웹 생태계의 흐름을 알 수 있을 듯 합니다.

2007년의 Version 1 – http://informationarchitects.jp/webtrends2007/

Web Trend Map 2007 Version 1

Yahoo , Microsoft , Google , Apple 이 거대하게 포진하고 있네요.

연이은 Version 2 에서는 좀더 다양한 회사들을 나타냅니다.

http://informationarchitects.jp/ia-trendmap-2007v2/

Web Trend Map 2007 Version 2

2006 년에 Times 에서 선정한 Person of the Year 였던 “You” 가 일본왕궁 자리에 있는 게 독특하군요.
아 의도한건지는 모르겠지만, 2009년판에는 같은 위치에 Steve Jobs , Barack Obama , Eric Schmidt , Bill Gates , Michael Bloomberg , Rupert Murdoch 이렇게 총 6명이 같이 있습니다.

2008년엔 300개의 회사를 표시하면서 더욱 커집니다. (PDF 로도 제공됩니다. )

http://informationarchitects.jp/web-trend-map-2008-beta/

2008 년 버전엔 한국사이트들은 한글로 나와있더군요. 싸이월드 ,네이버 , 오마이뉴스 이렇게 3개 입니다.

재미난 시도인듯 합니다. 2009년 버전의 경우 뽑아서 놓고 보니, 제가 전혀 못들어본 사이트도 꽤 있어서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재미나게 즐길수 있었습니다.

이 중 몇개의 사이트는 따로 소개글을 써 보려고 합니다. 그래서 늦었지만 이 글도 포스팅 한거구요 🙂



즐거운 회사 만들기 #2 – 1 대 100 퀴즈 게임

연달아서 쓰려고 했는데.. 열흘이 후딱 지나가버렸네요.

즐거운 회사를 만들려고 노력하는 사람

즐거운 회사 만들기 #1 – 하얀 코끼리 선물 교환 게임 에 이어서 2번째입니다. 왜 이런글을 적고 있는지는 앞에 글을 참고해 주세요 🙂

지난 글에서도 말씀드렸던 작년 송년 워크샵에선 또 다른 행사를 하나 더 진행했습니다. TV를 조금이라도 보시는 분이라면 다들 아실법한 “1 대 100 퀴즈게임“입니다.

원래 1 대 100 퀴즈게임은 네덜란드의 방송사에서 진행한 프로였고, 이 포맷만 수입해서 국내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물론 미국/이탈리아/프랑스의 방송사들도 수입해서 진행할 정도로 잘 구성된 퀴즈프로입니다. 자세한 게임 진행방식은 위키피디아를 참고 하시면 됩니다.

이 퀴즈게임이 재미있는 것은, 포맷 덕분도 있겠지만.. 3지 선다 형식의 단순하면서도 어려운 문제들이 출제된다는게 더 흥미롭습니다. 4지선다는 너무 당연한 오류답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긴장감이 떨어지는데반해.. 3지선다는 은근히 찍기를 강요합니다. 예를 들어서 이런 문제들 입니다.

1. [복제품에서는 흉내 낼 수 없는 원본만의 고고한 기운] 은 ?

a. 아고라 b. 아우라 c. 아리아

2. 범수는 여름방학에 곤충 관찰일기를 썼다. 일기에 나오지 않는 것은 ?

a. 무당벌레 b. 짚신벌레 c. 사슴벌레

3. 닭장속에는 암탉이 문간 옆에는 (?) 배나무 밑엔 (?) 외양간에는 송아지~ 에서 괄호안에 맞는 단어는 ?

a. 고양이-오리가 b. 도야지-나귀가 c. 거위가-염소가

4. <엘러리 퀸, 성 염색체 , 제2의 미지수 , 일본 화폐단위> 에서 공통으로 연상되는 것은 ?

a. X b. Y c. Z

왠지 쉬운거 같으면서도 아리까리 한 문제들이 출제됩니다. 그래서 모두 같이 즐기면 좋을꺼 같아서 행사아이템으로 잡아봤습니다.

다 같이 즐기는 1 대 100

하지만, 원래대로의 게임 룰이라면 한 문제만 틀리면 바로 떨어지게 되므로.. 팀 전체가 같이 즐기는 행사에는 맞지 않습니다. 그래서 조금 다른 방식으로 수정했습니다.

  • 1,2,3 이 프린트된 종이 3장씩을 모두에게 나눠줍니다.
  • 문제가 나가고 10초의 시간동안 결정한후 번호를 선택해서 머리위로 들게합니다.
  • 문제 하나 맞출때마다 초코렛을 한개씩 줍니다. ( 마트에서 파는 골드코인 초콜릿이 딱 좋더군요. ) 골드 코인 초콜릿
  • 모든 문제를 출제하고 초콜릿의 갯수대로 파악해서 많은 사람이 이기는 것으로 합니다. ( 몰래 한사람에게 몰아주는거 조심해야 합니다 ㅡ.ㅡ+ )
  • 외국인들이 몇명 포함된 저희 팀 구성때문에, 모든 문제는 영문+한글로 같이 출제합니다.

저희가 워크샵 장소로 잡았던 곳은, 대형 스크린이 있어서 문제 출제는 PPT 로 만들어서 진행했습니다. 음향효과 및 애니메이션까지 집어넣어서 원래 TV 프로랑 가능한 비슷하게 만들었는데.. 꽤 호응이 좋더군요 🙂

좋은회사 워크샵 퀴즈쇼 1대 100

공인 야구 규칙에서 금지하고 있는 것은 ?

가장 무거운 것은 ?

효과음을 포함한 실행 화면입니다. 동영상으로나마 감상해주세요. 아직 재사용할 여지도 있고해서 퀴즈문제 파일공유는 안하겠습니다. ^^;

총 25문제 정도로 진행했는데, 가장 많이 맞춘사람이 17문제 정도 더군요. 영어로도 표현되는 문제만 골랐기에 난이도는 그리 어렵지 않았던듯합니다.

그런데, 하고나서 보니.. 2등상품으로 뽑아뒀던 상품이 하나 남아버려서.. 제가 혹시나 해서 만들었던 한국인 전용 문제로 한번 더 진행했습니다. 물론 이번엔 한번이라도 떨어지면 바로 끝나는걸로 하고 최후의 1인을 뽑았는데요. 앞에서 한번 해본것들 때문인지 다들 집중해서 즐길수 있더군요. 최후에 2명 나왔을때는 앞에 나오게 해서 사람들 응원받으면서 문제 풀이를 진행했구요. 문제 난이도는 아래 정도의 수준이었습니다.

고려가요 청산별곡을 부르던 사람들이 후렴구를 부르기 시작했다. 뭐라고 불렀을까 ?

김홍도의 그림 씨름도에 관한 사실이 아닌것은 ?

실제로 팀원 전체가 1대 100 퀴즈프로에 신청해서 같이 나가는 것도 재미있을꺼 같긴해서, 제가 신청을 해보았지만.. 안되더군요 ^^; 그래서 꿩대신 닭으로 시도해봤지만, 더 웃고 즐길수 있는 재미난 이벤트가 된듯 합니다.

“즐거운 회사 만들기” 시리즈는 가능한 계속 적어보려고 합니다. 아직은 아이템이 그리 많진 않지만.. 혹시 제 블로그 보시는 분들중 회사에서 하고 계신 좋은 아이템이 있다면 공유부탁드립니다.

너무 많은 분들이 요청하셔서 코멘트를 닫아둡니다. 자료가 퀴즈인지라 너무 퍼져버리면 의미를 잃어버리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