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보관물: xguru

구글이 가정에 침투하다 – 전력미터 서비스 시작 : 구글과 전력소비

구글의 Mission 은 세계의 정보를 조직화해서, 모든 사람이 접근가능하고 유용하게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Google’s mission is to organize the world’s information and make it universally accessible and useful.

이 정보의 대부분은 웹/컴퓨터/네트웍을 통해서 전달되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전기를 소모하게 되겠죠. 따라서 구글은 전력소비에 관해 아주 신경을 많이 쓰고 있습니다.

우리가 한건의 구글 검색을 요청하면 약 0.0003kWh 의 전기를 소모한다고 합니다. 이것은 우리가 실제로 우리 컴퓨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검색명령을 내릴때 사용하는 모니터+본체의 전력소모량보다도 적습니다. 그만큼 효율적인 서버를 운영하고 있다는 것이죠.

Energy comparison of google server and typical server

또한 구글은 엄청난 전력을 소비하는 매우 큰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6-7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데이터센터의 위치는 구글 내에서도 극비라 극소수의 사람들만 알고 있다고 하더군요.

이 구글의 데이터 센터는 수분증발(Evaporation)을 통한 냉각시스템으로 아주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하여 운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Evaporation cooling system at google

이에 관련하여 Going Green 이라는 페이지를 운영하여, 자신들이 하고 있는 많은 노력을 알리고 있습니다.

http://www.google.com/corporate/green/index.html

또한 전력을 많이 소비함으로써 생기는 환경변화(지구온난화등)에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것을 널리 알리고 있죠.
그래서인지 구글은 2007년에 Mountain View, CA 에 있는 본사에 9212개의 Solar Panel 을 설치했습니다.

Google Solar Panel Logo

Google HQ, Mountain View, Solar Panel

Google HQ, Mountain View, Solar Panel

2007년 당시에는 구글 본사 총전력의 30%를 태양열로 충당하였으며, 이번에 제가 구글 가서 들으니
본사 직원분이 말씀하시길.. 지금은 총전력의 약 50% 까지를 태양열로만 쓰고 있으며, 내년까지는 본사전력의 100%를 태양열로만
쓸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자랑스럽게 얘기하더군요. “적어도 이 지구에 나쁜짓은 안하는 회사”가 되지 않겠냐고 웃으면서 말이죠..

직원이 전기자동차를 구입하면 회사에서 50% 금액을 지원하고, 전기자동차의 경우는 발레파킹까지 해줍니다.
전기자동차용 주차장에는 전원플러그가 나와있어서 자신들의 태양열로 만든 전기로 충전까지 무료로 하게 해주고 있습니다.

Electric Car Parking Lot at Google
Electric Car Plugin Recharging at Google

그리고 2004년부터 구글의 창업자 레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은 구글의 모든 수입/직원의 시간등 의 1%를 세계의 당면과제를 다루기 위해 사용하겠다고 발표합니다. 이것이 현실화된 것이 바로 Google.org 입니다.

Google Org Logo

여기서는 차세대 에너지나, CO2 배출을 줄이기 위한 전기자동차 기술의 개발을 위해 매우 많은 기부&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 Google.org 에서는 재미난 발표를 했습니다.
가정에서의 전기소비를 측정하기 위한 Google PowerMeter 라는 서비스입니다.

http://www.google.org/powermeter/

Lord Kelvin 의 유명한 말인 “If you cannot measure it, you cannot improve it.” 을 인용한 이 서비스는
각 가정에서 자신이 소비하는 전력을 자세히 알게됨으로써, 전력소비를 효율적으로 할수 있도록 한다는 생각에서 시작했습니다.

http://www.youtube.com/watch?v=6Dx38hzRWDQ

중간에 한 장면을 캡쳐해 봤습니다. “You CAN measure it, You CAN improve it.”

You CAN measure it, You CAN improve it

가정에 설치된 Smart Meter 들로부터 정보를 읽어와서, 그 소비량을 보여주는 서비스로 자신의 전력소비량을 iGoogle 에서 항상 확인할 수 있게 위젯형태로 제공 됩니다. 처음에 스마트 미터기 설치에 돈은 조금 들겠지만, 그보다 훨씬 더 절약할 수 있다고 합니다.

Home Electricity Use
Smart Meter - Google Demonstration Project
저희집 냉장고도 10년이 넘어가는데 바꿔야 하는거 아닌지 모르겠네요 ㅡ.ㅡ;;

Smart Meter - Google Demonstration Project

불날것도 예방해 줬다고 하는데.. 이건 좀 너무 심한 오버인듯 합니다.. ㅡ.ㅡ;;

어쨋거나.. 궁극적으로는 각 가정의 전기소비를 줄여서 전 세계의 에너지소비량을 줄여보겠다는 시도가 참신해 보이네요.
저도 하나 집에 설치해 보고 싶습니다.


컴퓨터 시계가 1234567890이 되는날

내일은 솔로들이 싫어하는 “발렌타인데이” 입니다만..
컴퓨터 앞에서 하루를 보내는 우리들에게는 꽤(?) 중요한 날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Unix timestamp 값 은 1970년 1월 1일부터 카운팅을 시작해서
1초씩 증가가 되는 값으로 메일을 보내는 현재는 1234478997 정도의 값입니다.

앞서 일어났던 재미난 숫자들을 보면..

0 -> Thu 1970-01-01 09:00:00 KST
100000000 -> Sat 1973-03-03 18:46:40 KST
1000000000 -> Sun 2001-09-09 10:46:40 KST
1111111111 -> Fri 2005-03-18 10:58:31 KST ( Decimal 1 Day )

같은게 있구요.

이 값이 2009년 2월 14일 오전 8시 31분 30초 가 되면 정확히 1234567890 이 됩니다.
GMT 기준으로는 ’13일의 금요일’ 23:31:30이고, 우리나라는 GMT+9 이니 8시31분이 되겠죠.

이를 기념하기 위해 국내에도 홈페이지도 하나가 만들어졌습니다.
http://labs.smle.net/valentine2009

대한민국 개발자를 위한 발렌타인데이 이벤트

해당시각이 되면 화면이 아름답게? 바뀐다고 하니.. 한번 들어가 보시길..

아예 외국에선 도메인이름으로 만들어지기도 했네요.

http://timestamp1234567890.com/

timestamp1234567890.com

또한 iPod 용 App 중에서도 이를 기념하기 위해 무료로 배포중인 Unix Clock 이란 App 도 있습니다.

Unix Clock

뭘 이런걸 다! 라고 생각하시지 말고 그냥 즐기는 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