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보관물: xguru

구루의 기술뉴스 : "만우절과 키넥트" 외 24건

구루의 기술뉴스 ( GuruNews ) 13회차입니다. 이 기술뉴스의 설명은 구루의 기술뉴스 : 2011년 첫번째 뉴스레터 를 참고하세요. 매주 초에 발행됩니다.

이번주는 만우절과 키넥트 에 대해 간단히 정리한걸 메인으로 선정했습니다. 하나의 트렌드로 정착해가고 있는 키넥트!

2011년 04월 04일, KTH 아키텍트 그룹이 발행하는 기술 신동향 & 뉴스 링크입니다.

[ 특집 : 만우절과 Kinect ]

  • 매년 4월 1일 만우절이 되면, 다양한 IT 업체들이 재미난 만우절 장난들을 선보입니다. 올해는 그 중에 눈 여겨 볼만한 것 2개를 선정했습니다.
    • 장난꾸러기 구글이 올해는 Gmail Motion http://j.mp/fvJBTU 이란 것을 선보였습니다. 사람들의 동작을 인식해서 메일을 작성한다는 것인데요. 매우 진지한 동영상과 전문가 동영상을 포함해서 긴가민가 생각하게 할 정도로 웃겨줍니다. 꼭 감상해보세요. 아래에는 Google Docs 에도 이를 적용할 예정이라는 http://j.mp/hGbY8G 글의 링크를 담고 있습니다. 역시나 다양한 아이디어의 사진들이 있으니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게임의 명가 블리자드는 StarCraft : Motion Overdrive 라는 제목과 함께 모션으로 스타크래프트2를 컨트롤 하는 동영상을 선보입니다 http://j.mp/e8FpGH , Microsoft 의 Kinect 센서를 활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더 재미난건 게임 내용에 나오는 고수플레이어가 한국인이라는 것입니다. 역시 스타크래프트 종주국은 한국이군요.
    • 이 두 가지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 바로 사람들의 동작을 인식한다는 것입니다. Microsoft 가 Xbox360 에 추가로 발매한 Kinect 컨트롤러는 ( http://j.mp/e8FpGH ) 는 1500만대 이상 판매되며, 게임컨트롤러 업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 왔습니다. 아직 공식 SDK 가 공개되지도 않았지만, 해커들에 의해 다양한 활용예제들이 공개되고 있습니다. 키넥트로 울트라맨 되어보기 ( http://j.mp/f8OIsC ) 같은 것도 만들어 졌구요. 이런 상황인데 위의 Gmail Motion 이 공개되자, 역시 정말로 이를 구현한 동영상이 공개되었습니다. http://j.mp/igovbg , 우표 붙이는 동작이 멋지네요. 즐거운 세상입니다.
    • Kinect 는 곧 공식 SDK 가 공개된다고 합니다. 우리는 이걸 활용해서 무얼 만들어 볼 수 있을까요 ?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웹사이트, 웹서비스, 웹기술 ]

  • Firefox 4 for 모바일 버전 데모 동영상 http://j.mp/eHnKFW 이정도면 훌륭하네요. 데스크탑용 파이어폭스에서 사용하던 엔진을 그대로 모바일에 적용. 상세기능은 http://j.mp/etaSfx 참고
  • SNS 1등이었던 MySpace의 몰락이 마이크로소프트 기술을 사용하고, 지역적으로 LA에 기반했기 때문이라는 글 http://j.mp/ihVxL5 이 공개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글에 대해 정말 “마이크로소프트 스택이 MySpace를 죽였나?” http://j.mp/eiEWVr 바로 앞 글에 대한 다양한 반박들 모음입니다. 엔진이 문제가 아니라 바로 사람과 개발문화가 문제였다는게 더 맞을 듯
  • 자바의 아버지 제임스 고슬링이 구글에 조인했습니다. http://j.mp/fmQX5z 이제 정말 Java 관련 유명한 프로그래머 들은 구글에 다 몰려있게 되네요. 게다가 Python 의 아버지 귀도 반 로섬 (Guido van Rossum) 도, C언어의 아버지뻘인 B언어를 만들었던 켄 톰슨도 구글에서 Go 언어를 만들고 있는데, 언어의 아버지들이 구글에 집결하는 재미난 모습이..
  • BBC가 만든 타임존의 역사. 인터랙티브 웹 사이트 http://j.mp/g0wqb4 정말 잘 만들었네요. 타임존이 정치적/지리적/사회적인 변화에 의해 왜 이렇게 꼬여있는지를 다양한 사진/글/동영상으로 설명합니다
  • 구글 Page Speed Online http://j.mp/hhP3Yg 웹페이지의 속도를 측정하고 다양한 최적화 옵션을 제공. 모바일 사이트도 지원
  • 멋진 책이 나오네요 Programming Social Applications http://j.mp/i4LCXU OAuth / Shindig / OpenGraph / PubSubHubbub 와 오픈소셜까지. 7월 출간 예정
  • World-Of-Data 인포그래픽 http://j.mp/e4xOme 매초당 2.9M 이메일 발송/매분당 20시간 비디오 유튜브에 업로드/구글 매일 24PB 데이터처리/매일 5천만트윗/초당 72개의 아마존상품 주문
  • 개발자관점으로 리뷰한 Firefox 4 http://j.mp/h178Hs 훌륭한 HTML5 지원/WebGL/하드웨어 가속/JagerMonkey 엔진으로 JS속도 향상/WebM코덱/IndexedDB/WebConsole
  • 구글맵스를 잘 활용한 미국대학교 사이트 5선 http://j.mp/hgQhiz 워싱턴 이랑 노틀담 대학 사이트는 정말 잘 만들었네요. 오픈API의 힘

[ 모바일 – 아이폰/안드로이드 ]

  • 블랙베리의 RIM 문제 있다 http://j.mp/fGwyk0 “CEO가 2명이고,COO는 3명이다. 누가 책임자인지도 결정 못내리는 회사가 어떤 답안을 낼수있을까 ? 현금보유고도 없고,1사분기 예상도 안좋고,제품전략도 별로다”
  • HP의 모든 ePrint 기능지원 프린터가 이제 구글 Cloud Print와 기본으로 연동된다고 발표 http://j.mp/dJqbPs 모바일에서 클라우드를 이용해 직접 프린트가능. iOS 의 AirPrint도 HP만 처음부터 지원하더니 역시 HP가 앞서가네요
  • Nokia Sleeping Screen http://j.mp/dJeNqB 전력 소모가 어떻게 되는지 모르지만, 화면은 정말 멋지네요. Symbian^3 에만 적용된다는데.. 이런게 윈폰7에 적용되면 솔깃할 듯. 그리고, 아이폰은 JB해야 가능하지만 안드로이드는 충분히 만드는게 가능할듯 합니다.

[ HTML5/CSS/Javascript/프로그래밍 ]

  • HTML5 Boilerplate for Mobile http://j.mp/hkFwBf 다양한 스마트폰을 동시에 지원하는 HTML5 모바일 사이트를 바로 만들수 있는 템플릿
  • 미래 웹을 위해 디자인하기 http://j.mp/f0JsOG 전반적으로 앞으로 웹개발 방법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짚어주는 좋은 포스트. 모바일/포터블/웹표준/테스팅/정보구조화/SEO/Sharing
  • 수많은 디바이스를 대응해야 하는 페이스북의 모바일 사이트 제작 방식 http://j.mp/dOUFuk XHP와 WURFL을 이용하여 1개의 코드베이스로 서버에서 각 디바이스에 맞는 UI를 생성해주는 모바일 UI 프레임웍을 사용. 예를 들어 버튼을 만들고 싶으면 <m:button label=”Share” /> 처럼 개발자가 코딩하면 알아서 서버에서 각 디바이스에 맞는 버튼으로 렌더링해주는 방식.
  • http://flickholdr.com 웹사이트 개발시 사용하는 임시이미지를 플리커에서 태그/사이즈별로 찾아주는 사이트. http://flickholdr.com/300/400/beach 형식으로 즉시사용가능. X/Y/태그
  • 아이패드 오리엔테이션에 대응하는 CSS 만들기 http://j.mp/gSQFBu 지금까지 나온 것 중엔 가장 잘 정리된 듯
  • 구글 e북을 만들었던 Fantasy Interactive가 제작한 HTML5 농구게임 College Hoops 2011 http://j.mp/hefQh9 은근 어렵고 재밌네요 이거

[ DB,클라우드,웹서버 기술 ]

  • Digg 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http://j.mp/h88WRm , PHP / 파이썬 / Tornado / Thrift / 카산드라 / HDFS / MogileFS / MySQL / Redis / SOLR / Scribe / 주키퍼.. 요즘 서비스들은 기반기술이 다 비슷하군요.
  • 아마존이 Cloud Drive와 Cloud Player 서비스 시작 http://j.mp/i3R4BY 클라우드 드라이브는 5기가까지 무료로 제공. 웹기반 접속만 가능(데스크탑 싱크 없음) 대신 아마존 클라우드 드라이브에 음악을 업로드후 저장된 음악은 Cloud Player for Web & Android 를 제공해서 데스크탑 어디서나, 모바일 ( 안드로이드만 ) 어디서나 들을수 있음 ( 스트리밍 & 다운로드 ) http://j.mp/hFdeIN
  • 아마존 CTO가 얘기하는 아마존 클라우드 드라이브 & 플레이어 http://j.mp/hwfBml 소유자만 들을수 있게 하기 위해 AWS IAM을 사용했다는데,API 공개해서 누군가 아이폰용 앱을 만들어주면 좋을듯
  • SNS 1등이었던 MySpace의 몰락이 마이크로소프트 기술을 사용하고, 지역적으로 LA에 기반했기 때문이라는 글 http://j.mp/ihVxL5 이 공개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글에 대해 정말 “마이크로소프트 스택이 MySpace를 죽였나?” http://j.mp/eiEWVr 바로 앞 글에 대한 다양한 반박들 모음입니다. 엔진이 문제가 아니라 바로 사람과 개발문화가 문제였다는게 더 맞을 듯

[ 추천 동영상 ]

  • I Luv UX Design 이라는 이름의 UX Designer 분들께 바치는 동영상입니다. UX 디자이너가 어떤 일을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께선 꼭 봐주세요. KTH 디자인실 UX팀 분들께 바칩니다 😉 멋진 말들이 많네요 “Unsung heroes of design” “Creating Software with Soul” 1편 : http://vimeo.com/19131028 , 2편 : http://vimeo.com/21691333 , 모든 개발자들이 UX를 이해하고 자신의 일에 적용하는 세상을 꿈꿔봅니다.
  • 코닝에서 만든 “A day made of Glass” 라는 미래 모습을 담은 동영상이 유튜브에서 1천만회 이상 플레이되며 인기를 끌었습니다. 안보신 분들은 필감! http://j.mp/fPM9SB

이상입니다. 피드백 환영합니다!
제 블로그를 RSS리더에서 구독하시거나 , 제 블로그를 이메일로 구독하실수 있습니다.

구루의 기술뉴스 : 아마존 앱스토어 오픈 및 기타 뉴스 17건

구루의 기술뉴스 ( GuruNews ) 12회차입니다. 이 기술뉴스의 설명은 구루의 기술뉴스 : 2011년 첫번째 뉴스레터 를 참고하세요. 매주 초에 발행됩니다.

이번주는 지난주에 오픈한 아마존 앱스토어를 메인뉴스로 선정했습니다. 진정한 아이튠스 킬러가 출현하길 기대해봅니다.

2011년 03월 28일, KTH 아키텍트 그룹이 발행하는 기술 신동향 & 뉴스 링크입니다.

[ 모바일 – 아이폰/안드로이드 ]

  • 아마존 앱스토어가 오픈되었습니다. 아마존 앱스토어 리뷰 http://j.mp/ehjxkY 많은 사람들이 아이튠스에서 추가되길 원했던 위시리스트 기능포함. 국내 통신사 안드로이드 마켓들은 아마존 앱스토어를 면밀히 분석해야할 듯. 현재로선 최고의 기대치를 지닌 안드로이드 마켓입니다. 첫날 앵그리버즈 리오가 무료로 공개되었습니다만, 아쉽게도 미국내 사용자 외에는 다운로드가 불가능해서 원성을 사기도 했습니다. 아마존 앱스토어는 하루에 한가지앱을 무료로 제공하는 행사를 매일 진행하는데, 이 무료앱의 경우 사용자에겐 무료지만,개발자에겐 MSRP ( Manufacturer Suggested Retail Price , 소비자 권장가격 ) 의 20% 가 보장되기 때문에 앵그리버즈 Rio의 제작사인 Rovio가 다운로드당 20센트 수익을 가져가게됩니다. 이게 바로 앱스토어나 기존 마켓과의 차이점으로, 기존에 아마존이 가지고 있는 훌륭한 세일즈 알고리즘이 앱스토어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 아마존이 왜 거대한 타블렛 플레이어가 될 수 있는가? http://j.mp/hADHLC 이제 앱스토어의 런치와 함께 아이튠스가 가진 음악/영화/앱/책 컨텐츠를 다 가지고 있는 단 하나의 회사. 만약 킨들수준의 안드로이드 타블렛을 내놓는다면.. 삼성 긴장 해야 할 듯 합니다. 이에 대한 또 다른 증거자료 http://j.mp/ee6hf4 , 아마존은 작년에 터치패널을 만드는 스타트업인 Touchco 라는 회사를 인수한바 있습니다.
  • Berokyo – iOS용 파일매니저 앱. 탈옥없이 정식기능들만을 최대로 활용했네요. 드롭박스앱보다 더 직관적인 드롭박스 관리기능. 폴더기능도 멋지고 메일이나 다른앱들과 연계도 훌륭 http://j.mp/fZJ23w , 아이폰에서 파일관리기능이 있는 앱 개발자분들께서는 한번 파악해두실만 합니다.
  • 블랙베리 플레이북이 안드로이드앱도 호환이 가능하다고 발표 http://j.mp/fpv4rl 이제 플레이북은 C/C++ 기반의 NDK 와 자바기반의 블랙베리/안드로이드 지원,HTML5와 플래시/AIR 및 AirPlay와 Unity3도 지원해서 개발환경이 가장 많은 타블렛이 되었군요. 이에 대해 RIM 의 CEO 는 안드로이드의 수많은 앱들이 플레이북에서 돌아가게 해서 수적으로 많아보이기 위함이라고 노골적으로 말을 했네요.
  • 구글이 안드로이드 허니컴의 소스코드를 근 시일내에는 공개하지 않겠다고 발표 http://j.mp/hYHbGt 흐.. “Open” 이라는 단어를 새로 정의하는군요. 안드로이드는 아무리 봐도 오픈소스라고 볼 수 없습니다.
  • 모바일 개발자를 위한 아이콘/이미지 해상도 체크리스트 http://j.mp/eUO4ya 플랫폼이 많아지니 아이콘 사이즈도 정말 많네요. 아이콘사이즈가 총 13가지
  • 안드로이드 마켓의 In-App-Billing 기능이 지난주부터 공식 테스트에 돌입. 이번주에 정식 런치됩니다. http://j.mp/gu6dgo 테스트기간이 너무 짧은건 아닌지 모르겠네요.
  • 아이폰 앱 Everyday – 매일매일 지정시간에 알람이 울리면 자신의 얼굴을 찍는 앱. 그리고 그 얼굴들의 변화를 동영상으로 만들어줌 http://j.mp/ibk8na 소개 동영상 http://j.mp/fuNqAx
  • 갑자기 화제가 되고 있는 아이폰/안드로이드 앱 Color ( http://j.mp/fe4b3n ) 이 Color 는 근처 사람들과 사진을 즉시 공유하여.. 사진을 통한 새로운 네트워킹 환경을 만들겠다고 합니다. 공개전부터 VC로부터 4100만달러나 펀딩을 받았다고 해서 유명해졌습니다. @mahabanya 님이 정리한 Color 서비스 설명입니다. http://j.mp/gdX0UU 앞의 Everyday 와 함께 전면 카메라를 활용하는 앱/서비스들이 차츰 늘어나고 있군요.

[ 웹사이트, 웹서비스, 웹기술 ]

  • HTML 문서에서 내용만 추출하는 기법 관련 이론들 (Boilerpipe,MSS,TTR,VIPS..) 정리 http://j.mp/exE1FG 사파리의 Reader 같은 기능구현이 필요하신 분들 참고하세요. 이젠 웹사이트 내용들이 너무 지저분해지다 보니.. 웹크롤링 후 내용추출 하는 기법들도 회사들이 갖추어야 할 중요 기술력이 되어가는 듯.
  • 웹사이트 데이터베이스를 최적화해서 속도 개선하기 http://j.mp/i6qLSK
  • 킨들로 구입한 서적을 빌려보는 서비스 Lendle. 얼마전에 아마존에 의해 API 접근을 거부당했는데, Sync 기능을 제외하고 다시 오픈해도 된다고 아마존이 통보했군요 http://j.mp/g7olyn

[ HTML5/CSS/Javascript/프로그래밍 ]

  • http://akshell.com – 자바스크립트로 서버사이드 웹앱을 개발하기 위한 온라인 IDE. Cappuccino로 개발되어 거의 데스크탑앱 수준의 UX제공. 개발후 Heroku,No.de 같은 클라우드로 디플로이 가능
  • HTML5 Forms 의 현재 브라우저별 지원상태 http://j.mp/esOGvc 오페라만 독보적이고.. IE9는 좀 심각하군요
  • SenchaTouch 1.1 릴리즈 – 블랙베리6 지원 추가. Pull to Refresh 와 Pagination 기능추가. 안드로이드 스크롤링 3배이상 빨라짐 http://j.mp/fMwRjO
  • 프로젝트 Chameleon – iOS 개발시 사용하는 UIKit 을 맥으로 포팅해서 맥OS용 앱을 만들때도 iOS개발과 똑같이 개발할수 있도록 해주는 프레임워크 http://j.mp/e5wnWr

[ DB,클라우드 , 웹서버 기술 ]

  • 페이스북이 새로 오픈한 실시간 분석 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내부분석 자료 http://j.mp/h9KBUU HBase를 사용하여 하루에 200억개의 이벤트(초당 20만개)를 프로세싱
  • Snappy – 구글이 공개한 압축 라이브러리. 기존 압축라이브러리들과 달리 고속압축 & 쓸만한 수준의 압축율을 타겟. 구글내부에서 MapReduce,BigTable에 사용. 싱글i7코어 64빗 모드에서 초당 250MB 압축/500MB 이상 해제 가능. 비슷한 압축율을 보이는 다른 알고리즘들보다 빠르다는 결과. 어셈블리코드는 전혀없이 C++ 코드로만 되어있지만 , 현재는 리틀엔디안 64Bit 코드에 최적화 됨. http://j.mp/hQEQRV

이상입니다. 피드백 환영합니다!
제 블로그를 RSS리더에서 구독하시거나 , 제 블로그를 이메일로 구독하실수 있습니다.